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연봉 7000만원 실수령액 얼마일까?

by hitec 2022. 1. 9.

연봉 7000만 원 실수령액 얼마일까?

월급 명세서를 받으면 기본급은 높은데 여러 가지를 공제한 후 받는 실수령액 차이가 꽤 커서 속상할 때가 많다. 4대 보험이나 소득세를 꼭 내야만 하나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오늘은 연봉 7000만 원 실수령액 얼마일까? 에 대해 포스팅하였다. 이왕 내는 거 정확하게 알고 넘어가보면 좋을 듯하다.

 

 

2022년 최저임금 얼마일까?

2022년 최저임금
2022년 최저임금

 

2022년의 최저시급은 9,160원이다. 2021년 최저시급인 8,720원 보다 440원이 올랐다. 최저시급 인상률은 5.04%인데 연도별 최저임금 표를 보면 다음과 같다.

연도별 시간당 최저임금 추이
연도별 시간당 최저임금 추이

 

최근 2년 동안의 최저임금 추이를 보면 인상률이 높지 않은 것을 볼 수 있다. 올해가 문재인 대통령의 임기 중 마지막 최저시급 결정이었는데 17년 대통령 공약 중 하나였던 1만 원은 넘지 못했다. 최저시급인 9160원을 기준으로 적용한 월급은 1,914,440원 연봉으로는 약 2300만 원 정도이다.

 

 

세전과 세후

통상적으로 연봉을 말할 때는 세전을 기준으로 말한다. 흥미로운 점은 남들에게 자랑하고 싶을 때는 세전 연봉으로 말하지만, 막상 본인을 평가할 때는 세후 연봉으로 계산하는 게 일반적이다.

여기서 세전이란 세금 전 연봉(통상적으로 계약 연봉)을 말하며, 세후란 세금 후의 연봉(4대 보험&소득세 차감)을 말한다.

 

 

4대보험 요율 정리

- 건강보험: 6.86% ⇒ 6.99% (사업자 3.495%, 근로자 3.43%)
- 국민연금: 9% (사업자 4.5%, 근로자 4.5%) ⇒ 동결
- 장기요양보험: 11.52% ⇒ 12.27% (건강보험료 x 12.27%)
- 고용보험: 1.6% (사업자 0.8%, 근로자 0.8%) ⇒ 동결

 

 

2022년 기준 실수령액

2022년 기준 실수령액 1000~5000만원
2022년 기준 실수령액 1000~5000만원

 

2022년 기준 실수령액 5100만원~1억원
2022년 기준 실수령액 5100만원~1억원

 

 
월 예상 실수령액4,805,823
연 예상 실수령액57,669,880
국민연금235,800과세액의 4.5% / 최대 235,800원
건강보험200,380과세액의 3.495%
요양보험24,580건강보험의 12.27%
고용보험51,600과세액의 0.9%
근로소득세468,320간이세액
지방소득세46,830근로소득세의 10%

 

2022년 기준 실수령액 1억 이상 계산하러 가기 클릭!

 

간이로 계산된 연봉 실수령액이고 소득세와 지방소득세는 차이가 있어서 실수령액은 차이가 있을 수는 있으니 참고용으로 보면 적합하다. 내가 생각하는 연봉이면 실수령액이 얼마 정도 되는지 예상해볼 수 있고 연봉협상을 하는 시기가 되어가니 미리 알아두면 좋을 것 같기도 하다. 이상 연봉 7000만 원 실수령액 얼마일까? 포스팅을 마친다.

 

연봉 1억 실수령액 얼마일까?

 

연봉 1억 실수령액 얼마일까?

연봉 1억 실수령액 얼마일까? 회사마다 다르지만 매년 1월~3월이 되면 연봉 협상을 통해 새로운 연봉을 받게 된다. 이건 회사마다 기준이 있기 때문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연봉이 바뀌게 되면

rich7932.nbbaysox.com